금 가격 급등, 안전자산으로의 기대감 고조
금 가격 급등, 안전자산으로의 기대감 고조
금 가격이 올해 들어 약 50% 상승해 트로이온스당 3800달러를 돌파하며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전쟁으로 인한 달러 약세와 인플레이션 우려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여 금에 대한 안전자산 선호를 촉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금 관련 ETF로 대규모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최근 4주 동안에만 금 ETF에는 136억 달러의 순유입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금 보유량을 3800톤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모건스탠리는 금을 포트폴리오의 핵심 자산으로 새롭게 자리매김하며, '주식 60%, 채권 20%, 금 20%'의 자산 배분 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미국 정부 셧다운의 장기화 역시 금값을 온스당 4000달러에 근접하게 만들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의 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경기 및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금 상승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금시세가 처음으로 20만 원을 돌파하면서 금 투자 열기가 확산되고 있으며, 이는 미국 정부 부채 증가, 지정학적 불안정, 그리고 ETF를 통한 자금 유입이 주된 원인이다. 장기적으로 중앙은행들의 금 보유 감소와 금 탐사 비용 증가로 인해 금의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금리 인하 후 유동성 증가가 금의 성과를 제한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한국에서는 주요 금 투자 방법으로 골드바, 금 통장, KRX 금시장, 금 ETF가 있으며, 수수료 및 세금 측면에서 특히 KRX 금시장과 금 ETF가 효율적이다. 전문가들은 김치 프리미엄 상황에서는 해외 금 ETF 투자도 고려할 수 있음을 조언하며, 금 외에도 금광 기업과 은 투자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관련 뉴스
이투데이10시간 전
국제금값, 美 셧다운ㆍ금 ETF 매입 행렬에 4000달러 육박[종합] - 이투데이미 금리 인하 기대 영향▲골드바 (게티이미지)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사태가 경제 불확실성을 키우고, 동시에 투자자들이 금 관련
이투데이17시간 전
고공행진 금…추석 용돈으로 금 투자 괜찮을까 - 이투데이국내 금 시세 사상 첫 20만 원 돌파ETF로 몰리는 뭉칫돈…투자 열기 확산전문가 “장기적 상승, 단기 성과는 제약”▲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서 관계
파이낸셜뉴스19시간 전
인플레·달러 약세·채권 불안이 불붙인 ‘금 광풍’ - 파이낸셜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전쟁이 촉발한 달러 약세와 인플레이션 우려가 투자자들의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했고 여기에 금 상장지수펀드로의 대규모 자금 유입이 상승세를 가속했다.6일 세계금협회에 따르면 최근 4주간 금 ETF로 순유입된 자금은 136억달..
동아일보19시간 전
금 투자, ‘김치 프리미엄’ 높을 땐 ‘美 금 ETF’가 최적 - 동아일보국제 금 가격(현물)이 9월 30일 장중 온스당 3870달러(약 540만 원)를 돌파하며 또 한 번 사상 최고치를 갈아 치웠다. 금값은 지난달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기준금리 인하 전후로 급등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여기에 추가 금리인하를 가늠할 수 있는 8월 미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