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와 ETF 자금 유입에 따른 시장 전망
코스피와 ETF 자금 유입에 따른 시장 전망
유진투자증권은 원화 가치 하락에도 불구하고 코스피가 안정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과거와 달리 2024년 이후부터는 원화 약세가 주식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금융투자자금과 ETF 유입이 코스피에 안정성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외국인 투자자들이 환차손에 덜 민감해진 가운데, 반도체 업종의 이익 전망이 그들의 투자 결정에 주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반도체를 제외한 다른 업종에서는 외국인 매도가 여전히 우세한 상황이다. 그러나 반도체 업종의 긍정적인 이익 전망은 외국인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이는 해당 업종의 상대적인 안정성을 보장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외국인 매도가 주가 상승세를 늦출 수 있지만, 금융투자와 ETF 자금의 지속적인 유입은 시장의 급격한 조정을 막는 긍정적인 요인이다.
관련 뉴스
연합인포맥스20시간 전
원화 약세=주가 하락' 공식 변했다…국내증시 받치는 ETF 자금 - 연합인포맥스2024년 이후 원화 약세가 반드시 국내 주가 하락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7일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달러-원 하락(원화 가치 상승)과 코스피의 상관계수는 2020~2023년 마이너스(-)0.49였다. 하지만 2024년 이후 플러스(+)로 반전됐다. 달러-원 상승이 반드시 주식시장에 악재로 작용하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외국인 투자가들이 원화 약세에 따른 환차익 손실을 원치 않는다는 일반적인 상식과 다르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반도체 업종만큼은 환율보다는 반도체 이익 전망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기 때문이
뉴스핌20시간 전
코스피, 원화 약세에도 견조…외국인 없이도 ETF 자금이 버팀목 [모닝 리포트] - 뉴스핌[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17일 유진투자증권은 국내 코스피가 원화 약세에도 견조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2024년 이후 코스피와 원·달러 환율의 관계가 과거와 다르게 움직이고 있다'며 '원화 약세가 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