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과 채권 시장의 주요 동향
글로벌 금과 채권 시장의 주요 동향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미국 금리 인하 가능성으로 인해 국제 금 가격이 꾸준히 상승하며 최고가를 갱신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약달러 기조가 이 상승세에 기여하고 있으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도 중요한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각국의 중앙은행은 금 매입을 늘리고 있으며, 국내 투자자들의 금 투자 선호도 함께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요 금융 기관인 JP모건과 골드만삭스는 금 가격이 2026년 말까지 계속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금 관련 ETF 상품들이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글로벌 채권 시장에서는 반가드 토탈 인터내셔널 본드 ETF가 주목할 만합니다. 이 펀드는 한국 원화 채권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7월 말 기준 작년보다 약 2억4천만 달러 증가한 총 30억9천720만 달러를 투자했습니다. 순자산의 증가로 한국 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2.9%로 감소했으나, 투자액 자체는 증가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펀드는 패시브 운용 방식으로, 블룸버그 글로벌 지수를 추종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국고채의 만기는 2026년부터 2074년까지 다양합니다. 한국 원화 채권 시장에 대한 이러한 투자 전략은 장기적인 안정성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관련 뉴스
비지니스포스트2025년 09월 04일
'트럼프 시대' 황금의 질주는 끝없다, 골드뱅킹서 현물·채굴 ETF까지 투자 러시 - 비즈니스포스트'트럼프 시대' 황금의 질주 계속된다, 골드뱅킹서 현물·채굴 ETF까지 매력 여전
연합인포맥스2025년 09월 04일
뱅가드 채권ETF, 韓 국채·채권 투자 늘렸다 - 연합인포맥스글로벌 채권시장의 큰손인 뱅가드 토탈 인터내셔널 본드 상장지수펀드(ETF)가 원화 채권 투자를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뱅가드 토탈 인터내셔널 채권 ETF는 미국을 제외한 선진국 국채에 투자하는 ETF중 규모가 가장 크다. 4일 뱅가드 홈페이지에 따르면 '뱅가드 토탈 인터내셔널 본드 상장지수펀드(ETF)의' 우리나라 채권 투자액은 지난 7월 말 기준 약 30억9천720만달러(약 3조8천억원)로 1년 전 28억5천900만달러보다 약 2억4천만달러 늘었다. 이는 펀드 순자산(1천68억달러)에 한국 투자 비중(2.9%)을 곱해 산출한 결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