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및 한국 ETF 시장 동향 분석

슈와브 US 디비던드 에쿼티(SCHD) ETF는 에너지 종목의 부진으로 올해 0.23% 하락했다. 최근 3개월간 4억4210만 달러의 자금이 순유출되었으며, 이는 주요 구성 종목에서 에너지 부문의 부진이 영향을 미쳤다. 한국 투자자들은 같은 기간 SCHD를 2억2417만 달러 상당을 순매수하며, 환율 하락에도 불구하고 해당 ETF에 대한 꾸준한 관심을 보였다.
한국 시장에서는 미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구조화 ETF가 큰 인기를 얻지 못하고 있다. 삼성자산운용의 KODEX 미국S&P500버퍼 ETF 시리즈는 저조한 투자자 관심으로 인해 신규 상장을 중단했다. 이는 국내 투자자들의 높은 위험과 수익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방어형 상품에는 관심이 적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면, 미국에서는 재무 설계사와 투자 자문사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인해 관련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한국거래소는 삼성자산운용과 우리자산운용의 ETF 3종목을 신규 상장했다. 삼성자산운용의 'KODEX 금융고배당TOP10'은 고배당 성향의 코스피 200 금융섹터에 투자하며, 'KODEX 미국S&P500변동성확대시커버드콜'은 S&P500의 변동성에 따른 콜옵션 매도 전략을 사용한다. 우리자산운용의 'WON K-글로벌수급상위'는 EPS 증가율과 외국인 수요 강도가 높은 종목을 대상으로 한다.
관련 ETF
관련 뉴스
거래소, 삼성·우리자산운용 ETF 3종목 신규 상장 - 이데일리한국거래소는 삼성자산운용 및 우리자산운용의 ETF(상장지수펀드) 3종목을 오는 12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고 8일 밝혔다. 먼저 삼성자산운용의 ‘KODEX 금융고배당TOP10’는 코스피 200 금융섹터 종목 중 고배당 관련 기준을 충족하는 상위 10종목에 투자하는 패...
서학개미 톱픽에서 골칫거리로…자금 빠지는 ‘슈드’ ETF [맹진규의 글로벌 머니플로우] - 한국경제서학개미 톱픽에서 골칫거리로…자금 빠지는 슈드’ ETF, 맹진규 기자, 증권
관련 ETF
미국서 대박 난 '구조화 ETF', 한국선 찬밥…왜 - 연합인포맥스변동성을 낮춰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구조화 ETF가 미국 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것과 달리 한국에서는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시장 개척에 야심 차게 나섰던 국내 주요 자산운용사들이 관련 상품 운용에 고전하면서 커버드콜을 제외한 구조화 상품 시장의 부진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자산운용은 'KODEX 미국S&P500버퍼' ETF 시리즈의 9월물 신규 상장을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 투자자들의 저조한 관심과 거래량을 고려해 숨 고르기에 들어간 것이다. 실제로 지난 3월 출시된 3월물
관련 ET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