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ETF 및 ETN 시장의 과제와 성장 필요성
국내 ETF 및 ETN 시장의 과제와 성장 필요성
국내 액티브 ETF 시장은 글로벌 시장과 비교했을 때 규제 환경과 시장 구조 때문에 성장이 더딘 것으로 평가됩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주식형 액티브 ETF의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주로 채권형과 채권혼합-파생형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에 자산 운용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심사 등록과 상장 심사 절차의 간소화, 추종지수와의 상관계수 유지 의무 위반 규정의 개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ETF 시장은 250조 원에 이르러 활발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ETN 시장은 17조 원으로 성장이 정체되고 있습니다. ETF는 퇴직연금에 편입될 수 있지만, ETN은 신용 위험과 구조적 복잡성으로 인해 외면받고 있습니다. 특히 ETN 상품의 경우 레버리지·인버스 상품이 대부분을 차지하여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의 성장을 위해서는 제도 개선과 더불어 상품의 다양화가 필수적이라는 분석입니다.
관련 뉴스
데일리안19시간 전
액티브 ETF 시장 71조 규모로 성장했지만…규제 때문에 주식형 비중은 9% - 데일리안국내 ETF 시장의 체질 개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펀드매니저가 시장 상황과 개별 종목의 실적을 고려해 적극 운용하는 액티브 ETF 중에서도 주식형 상품이 저변을 넓혀가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규제 영향으로 성장성이 제약받고 있다는 지적이다.김재칠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최근 발표한 '액티브 ETF의 부상과 과제'라는 제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ET
이투데이20시간 전
ETF는 폭발, ETN은 제자리…‘250조 격차’ 벌어졌다 - 이투데이ETN 250조 시장인데…ETN 17조 정체퇴직연금 장벽…레버리지·인버스도 부담▲여의도 증권가 (출처=게티이미지뱅크)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이 사상